3월 16일 회의

2020. 9. 10. 20:59
반응형

2학기에는 공모전이나 캡스톤디자인 국제 컨퍼런스에 나갈 예정.

일본에서 함.

영어로 2쪽 정도. 좋은 동네랍니다.

나온 결과물을 영상으로 만들어야.

 

오전 10:27

박서오:  키넥트를 이용하게 되었다. 홈네트워크 적용. 다양한 가능성 시사.

      1. 센서렌즈
      2. 데이터 전송
      3. 관절 추적 시스템
        1. 관절 꺾이는 것을 인식.
        2. 다리는 엉덩이 - 무릎 - 발바닥까지 인식
      4. 오디오 시스템
        1. 에코발생 제거 시스템
        2. 다양한 음성 인지
      5. 센서 위치 선정
        1. TV나 모니터 화면 중 ~ 에 해당하는 공간에 위치
      6. 플레이 공간
        1. 1.8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서.
        2. NUI(Natural User Interface)는 유저 전신을 트래킹 할 수 있는 기능.
      7. 전신 골격 트래킹
        1. 신뢰도: 카메라 범위에 따른 오차 범위
        2. 카메라 소음이 있는데 API로 제거 가능
        3. ㄴㄴ20개의 연결부위, 신뢰도가 나타남
      8. 사용자 인식
        1. 골격과 색체 정보를 인식 -> 얼굴 인식
        2. 음성 인식
        3. 많은 사용자 인식가능. 8명 정도?
      9. 음성 인식
        1. Speech Engine
      10. 목표
        1. 한 곳에서 집안 전체를 컨트롤. 화면을 보고 다양한 메뉴를 선택.
        2. 키넥트에 장착된 카메라, 깊이 센서로 얼굴인식과 동작을 추적해서 등록된 사용자만 인증
      11. 관련 연구
        1. 프레젠테이션 시 … 키넥트 활용
        2. OpenNI Dev Challenge 대회. 손의 모션을 인식해서 Interface 사용하는 것이 3위
        3. 키넥트 게임(Dance Central, Kinect Animals)

 

오전 11:09

이박고: 전반사 거울을 이용한 위(Wii) 리모트

      1. 후면 미러형. 원래는 전반사 거울만 있는데 …
        일반 거울과 전반사 거울이 좀 다르다.
      2. 블루투스로 PC에 전송-.

특허를 먼저 장악해라

이 팀은 특허출원을 해야겠다.

소프트웨어 개발 쪽은 별로 없는지?

Wiimote로 PC를 주는 것.

 

오전 11:29

김서박: 지난 시간에 비해 달라진 점 설명

시퀀스 다이어그램.

      1. 차량 제어 시퀀스
      2. 카메라 제어 시퀀스(1번과 흡사)
        1. 카메라 초기화, 분석 , 사용자에게 전송
        2. 사용자 액션 취하면 패턴인식후 서버에 전송
        3. 서버에서 패턴을 인식, WiFi로 전송해서 모터 제어
        4. 카메라의 영상과 센서값을 다시 서버로 보내 분석 후 사용자 확인.
        5. 기존의 자료들을 찾아서 세미나를 했으면 한다.

 

오전 11:38

박: 핵심 개발내용

      1. 네트워크 분석해서 실시간 검색, 보고서 출력
      2. 파일 시스템 분석, 헤더 분석
      3. 파일 시스템 접근 시간,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
      4. 중점설계사항
        1. 파일 시스템에서 삭제 시 마스터 파일 테이블만 손상되지 않으면 파일은 살아 있음. 그것을 읽어와서 지워졌더라도 문자나 패턴을 복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듦.(가능해요? 네.)

 

박 : 알고리즘적으로 새로운 방법이다.

이 : 실용적으로 응용시스템이 안 나와 있으니깐. 알고리즘적으로 실용적이여야 된다.

이 : 파일 시스템에 특화된 알고리즘을 제시 해야 된다. 특성 분석

 

박 : 디바이스 드라이버쪽으로 공부

박 : 윈피캡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패킷을 캡쳐해서 해더구조를 분석, 정보를 뽑아온다. 분석이 되면 어떤 공격인지 인지 가능

이 : 그런 툴들이 많이 있지않아? 공격유형을 보여주고 대처?

박 : 전문가들이 패킷을 보고 대처

이 : 창의적인 부분이 먼가를 뽑아 낼려고 말한거임. 두가지를 줄이고 깊이 있게 하기~

박 : 시험환경은 프로그램짠거 넣은거고 가상으로 공격을 임의로 발생하여 검색이 가능한지…

이 : 장비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겟네요. 돈 안 되는 프로젝트네..상용화 할 수 있는 그런식으로 생각해보세요..필요하면 회사소개 해줌. 기본 컨셉은 발전시키면 좋겟다...설계를 계속하고~

반응형
,